행사
제목 하단 바

2025년 과학·정보통신의 날 기념식 개최 결과
작성일자 2025.04.28 조회수 29
첨부파일 없음

 

2025년 과학·정보통신의 날」 기념식 개최

과학기술·정보통신 유공자 157명에 정부포상 수여

-“인공지능으로 디지털 대전환과학기술로 미래선도” 주제로 개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상임, 이하 ‘과기정통부’)와 방송통신위원회(위원장 이진숙이하 ‘방통위’) 주최한국정보방송통신대연합(회장 노준형)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회장 이태식, 이하 ‘과총’) 주관으로 4월 21일 오후 14시에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2025년 과학·정보통신의 날 기념식」을 개최하였다.

 

  이번 기념식은 58회 과학의 날(4.21)과 70회 정보통신의 날(4.22)을 맞아 과학기술·정보통신 진흥 및 국가연구개발 성과평가 유공자에 대한 정부포상을 통해 과학·정보통신인 자긍심·명예심 고양하고“인공지능으로 디지털 대전환과학기술로 미래선도”를 주제로 대한민국 과학기술 및 디지털 미래 전망(비전)을 제시하는 자리로 마련되었다.

 

《 과학기술·정보통신의 날 연혁 

 

 

 

  (과학의 날1967년 4월 21일 과학기술처 발족일을 기념하여 1968년에 ‘과학의 날’로 제정, 1973년 「각종 기념일 등에 관한 규정」 제정 시 법정 기념일로 확정 

 

  (정보통신의 날) 1956년에 12월 4(1884년 우정총국 개설축하연)을 ‘체신의 날’로 제정1972년에 4월 22(1884년 고종황제가 우정총국 개설 명령)로 개정, 1994년 체신부가 정보통신부로 확대 개편되면서 ‘정보통신의 날’로 개정

 

  (과학·정보통신의 날) 2013년 미래창조과학부(과학기술·정보통신 통합출범 이후 비슷한 시기에 개최하는 과학의 날·정보통신의 날을 포괄하여 기념행사 개최  

 

  행사에는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유상임 과기정통부 장관이진숙 방통위 위원장노준형 한국정보방송통신 대연합 회장, 이태식 과총 회장 등 과학기술‧정보통신 주요 인사들이 참석하였으며과학기술‧정보통신 진흥 및 국가연구개발 성과평가 유공자를 포함하여 총 수상자 157* 중 현장 참석자 139에게 시상을 진행하였다.

 

  * 훈장: 33명, 포장: 22명, 대통령표창: 44명, 국무총리표창: 58명 

 

《 과학기술 진흥 부문 》

 

  과학기술진흥 부문에서는 훈장 26명포장 11명대통령 표창 20명국무총리 표창 27명 등 총 84명에게 정부포상이 수여되었다.

 

  과학기술 창조장은 작년 1점에서 올해 2점으로 증가하였다.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혁신적 이론 및 실용화 기술 연구로 국내 정보통신(IT) 소프트웨어 산업 발전과 인터넷 정보문화 시대의 조기 출범 및 확산에 선구자적으로 기여한 황규영 한국과학기술원 교수와 시스템대사공학을 창시하여 세계 최초·최고의 화학물질, 플라스틱기능성 천연물 생산 미생물 및 생산공정 원천기술 개발 등 친환경 화학산업 발전에 기여한 이상엽 한국과학기술원 연구부총장이 과학기술 창조상을 수상하는 등 총 26명이 훈장을 수여받았다.

 

  과학기술 포장은 단백질 구조를 규명하는 구조생물학 분야의 연구와 교육에 헌신하여 관련 분야의 학문적 위상 제고에 기여한 송현규 고려대학교 교수, 실리콘-탄소 나노복합 음극 개발로 700km 주행 및 9분 급속충전이 가능한 이차 전지를 구현하여 국가 기술력 향상에 기여한 김영욱 삼성SDI Master 등 총 11명이 수상하였다.

 

  대통령 표창에는 한국형 양자 정보 체계(플랫폼및 원자 분해능 양자 감지기(센서개발에 기여한 하인리히안드레아스 기초과학연구원 연구단장차세대 반도체 원천물성 구조분석 및 소재 개발을 통해 국가 반도체 소재 경쟁력 강화에 기여한 정희석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소재분석연구부장 등 총 20명이 수상하였다. 

 

  ​국무총리 표창에는 웹기반 노코딩 협업형 양방향 확장현실(인터랙티브 XR/eXtended Reality) 융합 콘텐츠 저작도구 및 공유 온라인 체제 기반(플랫폼) 기술 개발에 기여한 이상용 팜피주식회사 개발총괄기능성 고분자 및 디스플레이 소재 기술 혁신에 기여한 정광운 전북대학교 교수 등 총 27명이 수상하였다.

 

《 국가연구개발 성과평가 부문 》

 

  국가연구개발 성과평가 유공 부문에서는 훈장 2포장 5대통령 표창 6명국무총리 표창 8명 등 총 21명에게 정부포상이 수여되었다.

 

 

  과학기술훈장 웅비장은 세계 최초로 이차전지용 음극 원천소재 K-LTO 개발 및 사업화 성공으로 한국형(K) 배터리 산업 경쟁력 강화에 기여한 김양수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책임연구원도약장은 실시간 재난재해 대응을 위한 ‘이음 5세대 이동통신(5G) 기반 유전자(디엔에이DNA)+드론 온라인 체제 기반(플랫폼)’을 세계 최초로 개발한 임채덕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이 수상하였다.

 

  과학기술 포장은 전투기탑재 다중모드 사격통제레이더 기술을 대한민국 차세대 전투기(KF-21)에 적용하여 세계 수준의 전투기 레이더 개발에 기여한 최성희 국방과학연구소 책임연구원첨단반도체 기반 착용형(웨어러블) 전자피부 원천기술을 확보하고 실용화한 박성준 아주대학교 부교수 등 총 5명이 수상하였다.

 

  대통령 표창은 유해 납 성분 없는 반도체 공정으로 세계 최고 수준의 성능을 가진 초음파 패치를 개발한 이병철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긴급구조용 3차원 정밀측위 및 와이파이 기반 정밀탐색 핵심기술을 개발하고 기술사업화에 성공한 조영수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등 총 6명이 수상하였다.


  국무총리 표창은 저에너지 기반 메탄 감축과 전환 기술을 개발하여 온실가스 문제 해결과 친환경 에너지 전환에 기여한 문준혁 고려대학교 교수, 신약의 생체내 독성 평가를 위해 실시간 감시 가능한 감지기(센서)가 통합된 생명과학(바이오인공심장을 개발한 장진아 포항공과대학교 부교수 등 7명과 연구개발 기반의 전방위 혁신을 통해 과학기술계 정부출연기관의 위상 제고에 기여한 한국식품연구원부설 세계김치연구소가 수상하였다. 



《 정보통신 부문 》

 

  정보통신 부문에서는 훈장 5명포장 6명대통령표창 18명국무총리표창 23명 등 총 52명(5개 단체 포함)에게 정부포상이 수여되었다.

 

  황조 근정훈장은 정보통신기술의 기반인 반도체 분야의 세계적 석학으로서 D램 및 미래 메모리 소자 연구, 산학 협력 등을 토대로 정보통신기술과 기반(인프라) 발전에 기여한 황철성 서울대학교 석좌교수가 수상하였으며, 동탑 산업훈장은 세계 최고 수준의 인공지능・디지털 전환(AI·DT) 융합 지능형 공장 체계(스마트 팩토리 시스템)를 구축하여 국내 반도체 제조 기술력 향상에 기여한 도승용 에스케이하이닉스 부사장이 선정되는 등 총 5명이 훈장을 수상하며 정보통신 발전 분야의 공로를 인정받았다.

 

  근정포장은 국내외 인공지능 반도체 분야의 교육과 연구를 선도하여 우리나라 인공지능 국가경쟁력 향상에 기여한 안정호 서울대학교 교수가 수상하였으며산업포장에는 1,100만여 명이 이용하는 세계적 인공지능(글로벌 AI) 서비스 ‘Liner’를 개발하여 인공지능 국가 경쟁력 발전에 기여한 김진우 라이너 대표가 선정되는 등 총 6명이 수상하였다.

 

  대통령표창은 인공지능 기반 학습 온라인 체제 기반(학습플랫폼)인 ‘클라썸’을 개발하여 국가 정보통신 발전과 국제 인지도에 기여한 이채린 클라썸 대표이사금융사기 위협에 대응하는 이상거래탐지시스템(FDS)의 고도화로 우체국예금 고객자산 보호에 기여한 문세라 우정사업본부 주무관 등 총 개인 15과 단체 3이 선정되었다.

 

  국무총리표창은 데이터 경제 활성화를 위한 법제도를 개선하고 인공지능 분야 신뢰 기반을 마련하여 새로운 디지털 질서 정립에 기여한 김은선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책임연구원과 국제전기통신연합(ITU) 국제사이버보안지수 평가 이래 최초로 전 세계 1(1등급, 100) 달성에 기여한 황보성 한국인터넷진흥원 실장 등 총 개인 15명과 단체 3이 선정되어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는 “대한민국의 눈부신 도약을 이끌어주신 과학기술인‧정보통신인 여러분께 무한한 감사와 존경의 마음을 전한다”라면서, “우리 국민과 정부는 여러분의 열정과 노력을 절대 잊지 않겠다”라고 말했다.

 

  아울러 “정부는 최근 필수 추가경정예산안에 인공지능 분야에 총 1조 8억 원 편성하였다”라고 덧붙이며, “앞으로도 창의와 혁신도전정신을 마음껏 펼칠 수 있도록 힘껏 뒷받침하겠다”라고 밝혔다.


출처 : 연합뉴스 https://www.yna.co.kr/view/PYH20250421130100013

       과학기술정보통신부 https://www.msit.go.kr/bbs/view.do?sCode=user&mId=307&mPid=208&pageIndex=4&bbsSeqNo=94&nttSeqNo=3185709&searchOpt=ALL&searchTxt=